상환전환우선주 발행 후 ‘상환’ 하는 법

1. 상환전환우선주를 ‘상환’한다는 의미는?

만약 A라는 주식회사의 상환전환우선주를 가지고 있는 투자자가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이 투자자가 보기에 A 주식회사가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투자했던 자금을 회수하고 싶어졌습니다. 이 때 투자자는 상환권을 행사하여 A 주식회사에 계약서의 내용대로 (현금 또는 다른 주식) 상환해달라고 요구할 수 있습니다.

참고) 상환 요청 조건은 계약서에서 자유롭게 정합니다.

상환요청 조건은 계약서에서 자유롭게 정할 수 있습니다. 반드시 회사가 투자자에게만, 투자자가 회사에게만 요청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상환요청 조건을 만들면 해당 내용을 등기부등본과 계약서에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적습니다.

2. 상환전환우선주를 ‘상환’하는 방법 및 절차

2.1 이사회 또는 주주총회 결의로 상환을 결정합니다.

상환주식은 배당가능 이익으로만 상환할 수 있으므로 상환을 위해 우선 상환재원이 있어야 합니다. 즉, 배당가능이익의 처분은 재무제표를 승인하는 정기주주총회에서만 할 수 있으므로 정기주주총회에서 배당가능이익을 상환재원으로 처분할 때만 상환주식을 상환할 수 있습니다. 재원이 있다면 이사회의 결의로 상환을 결정합니다.

2.2 상황에 맞추어 절차를 따릅니다.

주주가 상환청구하는 경우(Put Option)와 회사가 상환권을 보유하는 경우(Call Option)에 따라 다릅니다. 구체적인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 회사가 상환권을 갖고 있는 경우(강제상환)에는, 상환주주 모두에 평등한 기회를 주어야 하므로 주식소각의 규정을 준용하여 상환주전원에게 통지와 공고 등의 절차를 밟아야 합니다.
  • 주주가 상환청구권을 가지는 경우, 그 주주의 청구에 따라 상환하면 되고 이때 해당 주권을 회수하여 소각합니다.

3. 상환 후 등기

상환이 종료되면 상환으로 자본금에는 변동이 없으나 주식수가 감소하므로 본점소재지에서 2주간 내 주식 수 변경등기를 합니다.

4. 등기비용

총 합계 821,240원
공과금 총액 53,240원 헬프미 수수료 768,000원
등록세 40,200원 기본 수수료 699,000원
교육세 8,040원 교통비, 일당 없음
법원 수수료 (증지) 2,000원 제증명, 인감 없음
공증료 없음 기타 부대비용 없음
전자증명서 3,000원 부가가치세 69,900원

5. 헬프미 소개

  1. 법인등기 헬프미는 5대 대형 로펌 출신 금융전문 변호사가 만든 서비스로, 대한민국 등기 서비스의 표준을 만들어 나가고 있습니다.
  2. 지금까지 누적 80,000곳 이상의 법인 대표님께서 헬프미 서비스를 이용하셨습니다. 수 만 건의 등기를 처리한 노하우가 있으며, 이는 타사에서는 절대 모방할 수 없습니다.
  3. 숙련된 등기매니저들과의 1:1 상담을 제공하여 고객님의 어려운 부분을 시원하게 해결해 드립니다.